서울시 동별 가격정보

강동구 고덕동 전용59㎡ 아파트 전세거래량과 아파트 단지별 거래특징

가격바로 2025. 2. 7. 20:40
반응형

본 통계는 국토부실거래가 2025년 2월 6일 자료를 기준으로 합니다.

 

강동구 고덕동 아파트 (전용 59㎡) 전세 거래량과 평균전세가격

1) 고덕동 아파트 전용59 타입의 전세 거래량과 평균 전세가격

  • 강동구 고덕동의 전용59타입 아파트 전세 거래량은 소수의 아파트 단지에서 거래가 이뤄진다.
  • 이를 토대로 고덕동 전체의 월평균 전세 거래량과 각 단지별 전세 거래량 / 총 전세 평균과 각 단지별 전세 평균가격을 본다.
  • 강동구 고덕동의 아파트 전세 거래량에서 전용 59 타입은 큰 인기가 있는 단지는 아닌 것으로 보인다.(중형이상 선호)
  • 고덕동의 경웅에도 전용59타입 아파트 전세 거래량은 전세임대(SH/LH 등) 거래량이 2023년 4월, 10월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. 
  • 전형적인 봄철, 가을철 이사 시기에 전세 거래량이 증가하고 그외 기간 전세 거래량은 꾸준한 편이다.

강동구 고덕동 전용59㎡ 아파트 전세거래량과 평균가격

 

 

2) 고덕동 아파트 전용59 타입 전세 거래량 많은 곳 - 1순위 고덕그라시움

  • 강동구 고덕동에서 고덕그라시움의 거래량이 많은 것은 세대수가 많기 때문이다.
  • 전세 거래량이 집중된 2023년 9월과 10월에는 공공임대 전세 거래량이 동반된 것으로 보인다. 
  • 전세 거래량은 증가하고, 평균 전세가격이 하락한다. ( 이는 인위적인 저가 전세 공급에 의한 것이다. )
  • 이후 2025년 1월, 2월사이에 전세가격이 조금씩 상승하고 있다.

고덕그라시움 전용59㎡ 아파트 전세거래량과 평균가격

 

반응형

3) 고덕동 아파트 전용59 타입 전세 거래량 많은 곳 - 2순위 래미안힐스테이트고덕

  • 강동구 고덕동에서 래미안힐스테이트고덕 거래량이 2번째로 많다.
  • 전세 거래량이 집중된 2023년 4월 공공임대 전세 거래량이 동반된 것으로 보인다. 
  • 전세 거래량은 증가하고, 평균 전세가격이 하락한다. ( 이는 인위적인 저가 전세 공급에 의한 것이다. )
  • 이후 2025년 1월 전세가격이 크게 상승했지만, 1건뿐이다.
  • 이 아파트 단지의 공공전세와 같은 공급은 3월, 4월, 1월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.

래미안힐스테이트고덕 전용59㎡ 아파트 전세거래량과 평균가격

 

 

4) 고덕동 아파트 전용 59 타입 전세 거래량 많은 곳 - 3순위 고덕센트럴푸르지오

  • 강동구 고덕동에서 래미안힐스테이트고덕 거래량이 3번째로 많다.
  • 전세가격과 거래량이 반비례하고 있다. ( 물론 2024년 5월 이후 거래량 증가와 전세가격 상승이 나타난다. )
  • 중요한 것은 2023년 1월의 전세 거래량이 2025년 재계약, 갱신을 통해서 거래로 나타날지 여부이다.
  • 2년 전보다 평균 6~7천만 원 상승한 상태이기 때문에 강동이 아닌 다른 지역으로 이사를 고려해 봐도 될 것 같다.

고덕센트럴푸르지오 전용59㎡ 아파트 전세거래량과 평균가격

 

 

5) 고덕동 아파트 전용 59 타입 전세 거래량 많은 곳 - 4순위 고덕아이파크

  • 강동구 고덕동에서 전용 59 타입 아파트 전세 거래량 뒤에서 2번째.
  • 전세가격이 널뛰고 있는 것은 역시 공공전세 공급에 의한 것이다. ( 게다가 해당 전용59 타입 아파트 전세 공급량도 적다. )
  • 동일한 고덕동에서 전용59 타입에서 만일 고덕아이파크가 선호되었다면, 거래량이 적어도 전세가격은 상승했을 것이다.

고덕아이파크 전용59㎡ 아파트 전세거래량과 평균가격

 

 

6) 고덕동 아파트 전용59 타입 전세 거래량 많은 곳 - 5순위 배재현대

  • 강동구 고덕동에서 전용59타입 아파트 전세 거래량 가장 후순위.
  • 중소형 전용59타입 공급량이 은 곳이고, 강동구에서 평균 전세가격에서 가장 저렴한 곳이다.
  • 최근 2025년 1월 4억 7천만 원에 전세 실거래가 있었는데 이 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보이는 곳이다.
  • 평균 4억 5천만 원 선에서 정해지는 것으로 보인다.

배재현대 전용59㎡ 아파트 전세거래량과 평균가격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