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2025년 3월 1일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기준 서울시 아파트 24평형(전용 59) 평균가격 통계이며, 기간은 2024년 1월부터 2025년 2월 말일까지 국토부에서 내려받을 수 있는 자료를 기준으로 합니다.
아래 그래프는 서울시 2024년 1월부터 2025년 2월 말까지 국토부에서 내려받기 가능한 자료를 기준으로 평균 최고가격과 해당 기간 내 거래량 순으로 정리한 그래프다. 용산구의 경우가 가장 독특하게 비싼 지역이며, 서초구의 고가 아파트는 인정한다. ( 인근 중심업무지구 및 고액연봉 수령이 가능한 직장들이 즐비한 지역이다. ) 용산은 솔직히 돈 벌러 타 지역으로 가는 지역이다.
독특한 지역 중 도봉구가 있는데, 가격이 저렴하지만 거래량이 적다. ( 이는 도봉구의

아래 그래프에서 보면 청년인구가 연령이 늘며 중년으로 넘어가며 중년인구가 증가하지 않는 것은, 지역을 벗어난다는 의미다. 한 지역에서 거주하며 자연스레 나이들어가는게 아니라, 타 지역으로 이주하던지 중년의 인구가 타 지역으로 많이 이주했던지 한 것이다.
도봉구는 양육비율에서 2024년 1월보다 상당히 낮아진 지역이기도 하다. 아이를 낳지 않는 신혼부부들이 거주하는 지역이지만, 아이를 낳고 기를 때는 도봉구를 떠난다는게 오히려 맞는 표현일 수 있다.

1. 서울시에서 가장 비싼 24평형 아파트 동네
- 서울시에서 24평 거래가격 평균이 가장 비싼 지역은 "용산구 한남동" - 1건 거래금액이 32억 5천만 원
- 최고가 기준 최고 지역에 2025년은 없다. ( 이 부분이 중요하다. 2025년 서울시 최고가를 경신했다고 하지만, 최고거래가격 평균을 기준으로 2025년의 거래는 없다. 특정 지역의 가격 급등이 아닌 서울시 전체적인 아파트 가격 상승 거품이 일어난다면 그건 예외로 한다. )
- 서초구 반포동의 2024년 7월 24건의 거래량과 평균 매매가 30억 원은 거래량과 평균가격 모두 최상위 지역이다.
계약년월 | 군구 | 동읍 | 거래량 | 평균가격 |
202410 | 용산구 | 한남동 | 1 | 325,000 |
202409 | 용산구 | 한남동 | 3 | 321,667 |
202405 | 용산구 | 한남동 | 1 | 320,000 |
202412 | 서초구 | 반포동 | 10 | 319,460 |
202403 | 용산구 | 한남동 | 1 | 317,000 |
202411 | 용산구 | 한남동 | 2 | 316,000 |
202408 | 서초구 | 반포동 | 5 | 315,860 |
202409 | 서초구 | 반포동 | 9 | 315,111 |
202407 | 서초구 | 반포동 | 24 | 300,083 |
202410 | 서초구 | 반포동 | 9 | 286,611 |
2. 서울시에서 거래량 많은 24평형 아파트 동네
- 서울시에서 24평 거래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강동구 고덕동 2024년 6월에 72건 거래되었고, 평균 매매가격은 12억 4천만 원
- 이외 거래량이 가장 많았던 곳은 노원구 상계동으로 57건이 거래되었다. ( 평균 57,226만 원 )
- 딱 보면 알겠지만, 거래 평균가격이 낮은 지역들이 거래량이 당연히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.
계약년월 | 군구 | 동읍 | 거래량 | 평균가격 |
202406 | 강동구 | 고덕동 | 72 | 123,601 |
202407 | 노원구 | 상계동 | 57 | 57,226 |
202406 | 동대문구 | 답십리동 | 56 | 92,688 |
202407 | 관악구 | 봉천동 | 55 | 77,439 |
202406 | 은평구 | 응암동 | 54 | 82,270 |
202407 | 은평구 | 응암동 | 52 | 82,337 |
202407 | 성북구 | 길음동 | 51 | 83,221 |
202406 | 성북구 | 길음동 | 50 | 87,732 |
202406 | 관악구 | 봉천동 | 49 | 74,598 |
202408 | 성북구 | 길음동 | 43 | 85,440 |
3. 서울시에서 가장 저렴한 24평형 아파트 동네
- 서울시에서 24평 거래가격이 가장 저렴한 지역은 성북구 안남동 3가로 전용 59 타입 아파트 평균가격이 2억 3천만 원
- 2025년 1월 금천구 시흥동에서 4건의 전용 59 타입 아파트 매매가격은 평균 3억 8천만 원 수준이었다.
계약년월 | 군구 | 동읍 | 거래량 | 평균가격 |
202412 | 성북구 | 안암동3가 | 2 | 22,750 |
202405 | 구로구 | 궁동 | 2 | 30,000 |
202412 | 도봉구 | 쌍문동 | 1 | 33,000 |
202405 | 도봉구 | 방학동 | 4 | 35,125 |
202411 | 도봉구 | 쌍문동 | 2 | 35,400 |
202401 | 도봉구 | 쌍문동 | 2 | 36,000 |
202404 | 도봉구 | 방학동 | 3 | 36,100 |
202403 | 도봉구 | 쌍문동 | 4 | 37,625 |
202501 | 금천구 | 시흥동 | 4 | 37,875 |
202405 | 도봉구 | 쌍문동 | 3 | 38,800 |
4. 서울시에서 거래된 24평형 아파트 총량과 평균가격
- 아래 자료는 2024년 1월 ~ 2025년 2월 말을 기준으로 전용면적 59(24평형) 아파트 구별 거래량 총량
- 구별 평균 최고가격은 해당 기간에 집계된 평균 최고가격 월을 기준으로 높은 가격순으로 정리한 것이다.
- 서울시에서 소형 아파트 24평형이 가장 비싼 지역은 용산구 > 서초구 > 강남구 > 송파구 순이었다.
- 거래량을 기준으로 소형 아파트 24평형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성북구 > 성동구 > 강동구 순이다.
- 강동구 둔촌동의 둔촌포레온인지 하는 12000세대 아파트가 있어서 당연히 강동구가 거래량이 가장 많을 것으로 생각했으나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다.
- 24평형을 기준으로 거래량이 가장 적은 지역은 종로구 > 중구 > 도봉구 순이었다. ( 이는 시사하는 바가 있는데, 종로구와 중구는 업무중심지역이기에 공급량이 적어서 당연히 거래량이 적다. 하지만 도봉구는 그렇지 않은 지역이다. 이는 전용 59 타입의 소형을 선호하지 않는다는 것이며, 이보다 큰 평형의 아파트를 선호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)
구 | 거래량 | 평균최고가 |
용산구 | 282 | 325,000 |
서초구 | 497 | 319,460 |
강남구 | 587 | 255,000 |
송파구 | 779 | 222,300 |
성동구 | 1284 | 210,000 |
종로구 | 68 | 181,500 |
마포구 | 913 | 179,000 |
동작구 | 748 | 163,500 |
중구 | 211 | 158,667 |
강동구 | 1159 | 154,333 |
영등포구 | 896 | 139,750 |
광진구 | 367 | 129,940 |
서대문구 | 700 | 124,556 |
동대문구 | 816 | 122,000 |
양천구 | 456 | 119,500 |
은평구 | 738 | 117,000 |
강서구 | 723 | 111,625 |
성북구 | 1421 | 108,000 |
구로구 | 693 | 91,550 |
금천구 | 317 | 86,233 |
관악구 | 497 | 83,556 |
중랑구 | 363 | 82,150 |
노원구 | 955 | 74,394 |
강북구 | 287 | 66,704 |
도봉구 | 233 | 63,590 |
반응형
'서울시 동별 가격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강서구 가양동 전용39㎡ 아파트의 전세, 월세 보증금과 월세금 (0) | 2025.03.10 |
---|---|
송파구 신천동 파크리오 전용84㎡ 매매가격과 은행채금리 (2) | 2025.03.09 |
강동구 고덕동 전용59㎡ 아파트 전세거래량과 아파트 단지별 거래특징 (0) | 2025.02.07 |
강동구 강일동 전용 59㎡ 아파트 전세 거래량과 전세 평균 (0) | 2025.02.06 |
강남구 역삼동 아파트 전용59㎡ 전세 거래량과 평균가격 추세 (1) | 2025.02.06 |